만들어진 바트(windows)PE에 프로그램 간단하게 추가한 후 바로가기 만들기

 

1.일단 WinPE.by.aTHeNe20(2007.04.08).iso 이미지를 MagicISO나 ALCOHOL을 이용해서
  특정 경로 D드라이브에 WinPE란 폴더를 만들고 이미지를 풀어 놓습니다.

 

 - WINPE에 추가할 프로그램은 특정 경로 D드라이브에 WinPE란 폴더아래 PROGRAMS\ 여기에 추가합니다.
 - 그 다음 D드라이브 WinPE폴더로 가서 i386\system32\config의  파일중 Software만 특정 경로에 복사합니다.
 - 그 다음 WinPE.by.aTHeNe20(2007.04.08).iso를 시디로 구워 부팅을 합니다.

 

2.WinPE.by.aTHeNe20(2007.04.08).iso로 부팅을 한후 "시작" ->"프로그램"에서
  "LoadHive"를 실행하여 원하는 하이브를 불러오시면 되겠습니다.
  (여기서는 특정 경로에 복사한 Software하이브를 불러오도록 하겠습니다. 거의 대부분 이 파일만 만져주시면 됩니다.)

 

  주의 : 제대로 따라하셨다면 OK창이 하나 뜰텐데, 여기에서 OK를 누르지 마세요.

 

3.다시 레지스트리 수정을 위해 regedit를 실행시킵니다.

 

4.이후 HKLM(HKEY_LOCAL_MACHINE)\Software_00으로 가셔서 수정하시면 되겠습니다.

 

5.일단 2가지 주소는 기억하시면 좋습니다.

  HKLM\Software_00\Sherpya : 아이콘 생성 부분은 여기에 다 있습니다.
                            

6.단 아이콘 생성시 옵션을 주어야 하는 경우(예 : Daemon.exe -lang 1033)는   실행파일 뒤에 |를 붙이시고 옵션을 적어주시면 됩니다.
  (만든 것을 보시면 알 수 있을 것입니다.)

 

7.Sherpya 아래 XPEinit 아래 programs, Desktop, QuickLaunch를 클릭한다.

 

8.클릭한 후 오른쪽 화면에서 마우스 오른쪽을 클릭한 후 "새로 만들기"를 선택한다.

 

9.새로 만들기에서 "확장 가능한 문자열 값"을 선택한다.
 
10."새값 #1"이 생기면 마우스 오른쪽을 클릭하고 "이름 바꾸기"를 선택한다.
          
    예)

 

    바탕화면 :Desktop

 

   Create 512MB Page File on C-Drive : %SystemRoot%\system32\SetPageFile.exe|c:\pagefile.sys 512
   Choose Page File : %SystemRoot%\system32\SetPageFile.exe
   나의 대역 연결 :   %SystemRoot%\system32\xpeinit.exe|%SystemRoot%\system32\mypbk.cmd

 

   빠른 실행 :QuickLaunch

 

   TOTALCMD : %SystemDrive%\Programs\Totalcmd\RunTC.exe|/i=%ramdrv%\wincmd.ini /f=%ramdrv%\wcx_ftp.ini
   @shell32.dll,-22067 (윈도우 탐색기) : %SystemRoot%\Explorer.exe||explorer.exe,1


   프로그램 :Programs  
  
   IrfanView\IrfanView  :
   %SystemRoot%\system32\xpeinit.exe|%SystemDrive%\Programs\IrfanView\i_view32.CMD|%SystemDrive%\Programs\IrfanView\i_view32.exe,0

 

   SAMInside\SAMInside :
   %SystemRoot%\system32\xpeinit.exe|%SystemDrive%\Programs\SAMInside\SAMInside.CMD|%SystemDrive%\Programs\SAMInside\SAMInside.exe,0


 


   ******************************************************************************************************************


11.HKLM\Software_00\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RunOnceEx : 부팅시 실행되는 파일들은 여기에 다 있습니다.

  (100, 200같은 키는 실행 순서를 정하기 위하여 사용한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900번에 추가하시면 됩니다.)
 
  예)


   100번     : ||xpeinit.exe -f -m AutoRamResizer AutoRamResizer.exe -h 64 -f 64

   900번-100 : ||xpeinit.exe -f -m "Detecting PnP Devices" bartpe.exe -pnp -cn WinXPE -wg WORKGROUP
   900번-101 : ||xpeinit.exe -m "Installing Tcp/IP" bartpe.exe -c p -i ms_tcpip
   900번-102 : ||xpeinit.exe -m "Installing MsClient" bartpe.exe -c c -i ms_msclient
   900번-103 : ||xpeinit.exe -s -m "Starting Tcp/IP Service" net start tcpip
   900번-104 : ||xpeinit.exe -m "Starting Dhcp Service" net start dhcp
   900번-106 : ||xpeinit.exe -m "Starting NLA Service" net start nla
   900번-107 : ||xpeinit.exe -m "Starting LmHosts Service" net start lmhosts
   900번-112 : ||xpeinit.exe -m "Executing WinPCap" %SystemDrive%\i386\system32\Startpcap.cmd
   900번-120 : ||xpeinit.exe -m "User Custom Setting" %SystemDrive%\UserSetting\user.CMD
   900번-140 : ||xpeinit.exe -f -s -m "Starting Audio Server" net start audiosrv

   910번     : ||xpeinit.exe -f -s -m "Starting EventLog Service" net.exe start EventLog

 

  - 새로 만들기 -> "문자열 값" -> "새 값 #1"에 마우스 오른쪽 클릭한 후 -> "이름바꾸기"

    저 위 2가지는 레지스트리를 직접 보시면
    어떻게 수정해야 되는지를 직감적으로 아시리라 믿고 생략합니다.


12.ART에서 추출한 레지스트리는 위 주의점 3가지를 보시고 고치신 뒤
   메모장의 모두 바꾸기 기능을 이용하여
   HKLM\Software\를 HKLM\Software_00\로 바꾼 뒤 병합하시면 됩니다.

 

******************************************************************************************************************* 

13.모든 수정작업이 끝났다면 regedit를 종료하고 LoadHive창에서 OK를 누르시면 됩니다.
   이후 이미지에 변경된 파일을 교체하시면 되겠습니다.

 

14.D드라이브에 WinPE 이미지를 풀었던 곳(i386\system32\config)에 수정된 Software를 덮어 쒸웁니다.
  

15.다시 부팅가능한 ISO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선는 BCDW를 이용합니다.

 

16.BCDW.ini 에서 \i386\setupldr.bin 로 지정해줍니다.

 

17.cdimageGUIKor 이용해 ISO 이미지를 만들때 "부트트랩 파일지정" 할때
   WinPE\BCDW\LOADER.bin 으로 지정해준다.

 

P.S :
     %HOMEPATH%와 %USERPROFILE%같은 것은 환경 변수입니다.
     환경 변수란 그 환경에 맞게 주소가 변한다는 것 정도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이 환경변수를 알아내는 방법은 실행->cmd를 실행한 후 set라고 쓰시면 볼 수 있습니다.
     %HOMEPATH%는 실제 윈도우에서 확인한 환경 변수이고,
     %USERPROFILE%는 PE상에서 확인한 환경 변수입니다.
     (파일을 추출할 곳은 실제 윈도우, 파일을 압축 해제 할 곳은 PE상에서이기 때문입니다.)
     환경 변수를 잘 사용하시면 원하시는 모든 프로그램을 추가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실제 윈도우에서 지원되지만 PE에서는 지원되지 않는 환경변수가 있으므로 잘 확인하시고 사용하셔야 합니다.
     이 예에서 %HOMEPATH%로 나타낸 이유는 실제 윈도우에서는 지원하는 환경변수이지만,
     PE에서는 지원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서 사용했습니다.
     실제 윈도우에서 %USERPROFILE%과 %HOMEPATH%의 경로는 같습니다.)

 

'컴퓨터관련 > 바트pe유틸사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advanced registry tracer 사용법  (0) 2007.09.25
PE explorer 사용법  (0) 2007.09.25
로드 하이브 ( Load Hive ) 사용법  (0) 2007.09.25
레지스트리 하이브 편집  (0) 2007.09.24

+ Recent posts